도혀릐 2021. 11. 2. 21:50

https://bgm2020.tistory.com/47

 

[해커스쿨] FTZ 트레이닝 설치 방법, 로컬 환경 구축

리눅스를 처음 접하게되면, 윈도우 운영체제와 달리 명령어를 사용할 줄 알아야 합니다. 저는 처음에 구글링, 유튜브를 통해서 필요한 명령어들만 익혀서 사용했는데, FTZ 트레이닝이 도움이 된

bgm2020.tistory.com

해킹 공부를 하고싶어서 어떻게 해야하나 찾던 와중에 이 블로그를 발견했다 그래서 이 블로그를 따라 해보았더니 너무나 쉽게 다운로드가 되었으니 참고해서 다운로드 해주면 좋을 거 같다 

일단 이 블로그는 나의 공부 기록을 올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.

 

일단 실행을 시켰을 때는 이 화면이였따.

여기서 넘어가면 프롬프트에 대해서 소개한다.

만약 리눅스로 접속하게 되면 

이러한 프롬프트가 나오게 되는데 위 프롬포트는 [접속ID@서버 현재위치]$로 이루어진다.

프롬프트란 항상 대기상태에서 어떤 명령을 내리기만을 기다린다.

 

ls는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컴퓨터에 설치된 폴더들과 파일들을 보여줌

여기서 옵션을 추가해서 사용할 수 있는데

만일 ls -l을 사용하게 된다면 우리가 ls를 했을 때 보였던 파일들의 자세한 정보를 나열해서 보여준다.

만일 위 명령어를 사용했는데 이러한 값이 나왔다면 일단 TAB을 기준으로 나누고 보면

-rw-rw-r--과 drwxr-xr-x가 보일것이다. 이 부분이 -로 시작한다면 파일 이라는 것이고 d로시작하면 디렉토리 폴더라는 것이다. 그리고 trainer1 trainer1은 permission은 trainer9에서 배우게 된다니 뛰어넘고 그 뒤에있는 숫자 779와 1029부분은 파일의 용량의 크기 마지막으로는  생성된 날짜를 보여준다.

 

ls의 다른 옵션으로 -a가 있는데 이 옵션은 숨겨져있는 파일까지 보여준다. 숨겨진 파일들은 가장 앞부분이 .이 들어가있따. 

위에서 배운 옵션들을 합친 -al이라는 것이있는데 이것은 숩겨진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자세한 정보를 나열해서 보여주는 기능을 한다.

 

 

 

---느낀점---

확실히 한글어로 적혀있고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게 적어주셔서 너무 따라하기가 쉬웠고 또한 어떻게 하는지 값을 추론하고 스스로 공부하는게 아니라 이렇게 하는 거다 라는 것을 보여주고 이거를 외우게 하는게 저에게는 적성에 맞았어요